[출장상담예정]대퇴골두 전치환술을 했는데 장해보험금에 해당되나요
페이지 정보
4,558 2017.07.02 12:09
공통사항
이름 | 정민철 |
---|
질문내용
피해자 생년월일 | 1975년 5월 1일 |
---|---|
사고일 | 2016년 11월 10일 |
사고발생 경위 | 대퇴골두 전치환술 |
진단명 | 대퇴골두 무혈성괴사 |
보험사 | |
피해자의 소득 | 만원 ( * 자동차보험, 배상책임보험, 근재보험, 선원근재보험의 경우에만 기재합니다.) |
평균임금 | 만원 ( * 산재보험 및 선원근재보험의 경우에만 기재합니다.) |
장해등급 | 등급 ( * 산재보험 및 선원근재보험의 경우에만 기재합니다.) |
청구보험금액 | 만원 ( * 생명보험, 질병보험, 상해보험의 경우에만 기재합니다.) |
본문
2013. 4.경부터 양쪽 골반부위에 원인을 알 수 없는 통증이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정형외과에서 통증치료를 받아 보았지만 차도가 없었습니다.
결국 대학병원에서 정밀검사를 받게 되었는데, 대퇴골두 무혈성괴사 진단을 받았습니다, 당시 의사는 내가 아직 나이가 젊기 때문에 가능한 늦게 수술하는 것이 좋겠다고 했는데, 2016. 11. 10.에 대학병원에서 좌측 고관절 부위를 인공관절로 대치하는 인공관절 전치환술을 받았습니다.
대퇴골두 무혈성괴사 진단을 받고 인터넷에서 질병의 원인 등을 검색하던 중 스테로이드에 의한 무혈성괴사로 대퇴골두 전치환술을 하게 되면 생명보험에서 보험금을 받을 수 있다는 블로그 내용을 보게 되었다.
그래서 보험회사에 전화했는데 보험사는 질병이 원인이 되었기 때문에 해당사항이 없다고 합니다.
해당된다고 해도 보험금이 얼마되지는 않지만, 블러그 내용을 보니 저도 해당될거 같은데, 보험금을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
대퇴골두 무혈성괴사는 원인뿐만 아니라 발생 과정에 대해서도 정확히 밝혀져 있지 못한 상태이고, 여러 가지 원인 위험인자가 알려져 있는데, 원인적 위험인자로는 과다한 음주, 부신피질 호르몬(스테로이드)의 사용, 신장 질환, 전신성 홍반성 낭창(루프스) 등과 같은 결체조직병, 신장이나 심장과 같은 장기 이식을 받은 경우, 후천성 면역결핍증, 적혈구 빈혈증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아무런 원인적 위험인자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발생하는 경우도 자주 있습니다.
전화통화하였을 때 몇 년 전에 신증후군으로 치료를 받으면서 스테로이드계 약물을 복용하였다고 하는데, 그것이 원인이 되지는 않았는지 의심됩니다.
정확한 판단은 약물의 투여현황, 투여기간, 투여한 이후 통증이 발현된 시기 등을 세밀하게 살펴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라온손해사정에 보험금 사무를 위임하신다면, 판단에 필요한 의무기록 등을 발급받아서 검토하고 가능성 여부에 대한 답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전화통화 내용에 비추어 지급받을 수 있는 가능성은 충분할 것으로 예견됩니다.
감사합니다.
그래서 정형외과에서 통증치료를 받아 보았지만 차도가 없었습니다.
결국 대학병원에서 정밀검사를 받게 되었는데, 대퇴골두 무혈성괴사 진단을 받았습니다, 당시 의사는 내가 아직 나이가 젊기 때문에 가능한 늦게 수술하는 것이 좋겠다고 했는데, 2016. 11. 10.에 대학병원에서 좌측 고관절 부위를 인공관절로 대치하는 인공관절 전치환술을 받았습니다.
대퇴골두 무혈성괴사 진단을 받고 인터넷에서 질병의 원인 등을 검색하던 중 스테로이드에 의한 무혈성괴사로 대퇴골두 전치환술을 하게 되면 생명보험에서 보험금을 받을 수 있다는 블로그 내용을 보게 되었다.
그래서 보험회사에 전화했는데 보험사는 질병이 원인이 되었기 때문에 해당사항이 없다고 합니다.
해당된다고 해도 보험금이 얼마되지는 않지만, 블러그 내용을 보니 저도 해당될거 같은데, 보험금을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
대퇴골두 무혈성괴사는 원인뿐만 아니라 발생 과정에 대해서도 정확히 밝혀져 있지 못한 상태이고, 여러 가지 원인 위험인자가 알려져 있는데, 원인적 위험인자로는 과다한 음주, 부신피질 호르몬(스테로이드)의 사용, 신장 질환, 전신성 홍반성 낭창(루프스) 등과 같은 결체조직병, 신장이나 심장과 같은 장기 이식을 받은 경우, 후천성 면역결핍증, 적혈구 빈혈증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아무런 원인적 위험인자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발생하는 경우도 자주 있습니다.
전화통화하였을 때 몇 년 전에 신증후군으로 치료를 받으면서 스테로이드계 약물을 복용하였다고 하는데, 그것이 원인이 되지는 않았는지 의심됩니다.
정확한 판단은 약물의 투여현황, 투여기간, 투여한 이후 통증이 발현된 시기 등을 세밀하게 살펴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라온손해사정에 보험금 사무를 위임하신다면, 판단에 필요한 의무기록 등을 발급받아서 검토하고 가능성 여부에 대한 답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전화통화 내용에 비추어 지급받을 수 있는 가능성은 충분할 것으로 예견됩니다.
감사합니다.